문화산업, 아마추어 웹툰 작가, 노동 그 이후

9월 22일 목요일 밤, 당신의 영화 포럼의 세미나 영역 내에서 문화 사회 보고서 연구소와 한달에 걸친 프레젠테이션이 있었다. 이 발표의 제목은 "문화 사업, 웹툰 초보 작가 그리고 노동: 웹툰 작가가 되고 싶은 뉴비 무료웹툰 작가들의 '자발적 노동력 평가' 발표자는 박범기 문화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이 맡았다. 이 행사는 달력 년도로부터 두 번째 50퍼센트에 대한 정기 월례 발표회의 일부분이다.

 

'문화산업에 종사하는 동안 새로운 축적논리와 자립의 종류'라는 주제 아래 2차 문화사회연구소의 정기발표에서는 문화 분야를 둘러싼 풍경과 자립의 형태 속에서 변화된 모습을 논하고 있다."

이렇게 많이 썼으니 사실 따로 적어둘 게 없다. 발표 후 마음에 떠오른 흐릿한 느낌에 대해 발표해야 할까? 순간 나는 이런저런 생각이 들었다. 사람들 앞에서 왜 이렇게 긴장할까? 내가 하고 싶은 말을 제대로 했나? 왜 내 원고에 많은 격언이 있는 걸까?

 

그래서 내 발표가 청중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되었을까? 발표만 하면 되는데 왜 굳이 앞으로 나아가야 했을까. 등등. 이건 사적인 감정에 불과해 결과적으로, 그 내용은 이 유익한 기사에 적합하지 않을 것이다. 그럼 뭘 생산해야 하지?
 
우선, 나는 그날 일하는 날 프레젠테이션을 다시 정리해야 할 것 같아. 그날의 원고는 나의 석사학위 논문(박범기, "초급 무료웹툰 작가 제작 노동의 속성 내 분석: 네이버의 가장 효과적인 장애물 작가 전문",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6)이 지난 8월에 발표한 요약본이다. 웹툰 초보 작가들의 공연에서 나오는 캐릭터와 중요성을 설명하는 코너를 중심으로 원고를 다시 썼다.

 

그것이 내 논문의 주요 내용이라는 사실 때문에. 웹툰 초보 작가들이 자발적인 무급 노동을 펼치고 있는데, 실제 핵심은 이들이 이 방법에서 많은 즐거움을 누리고 있다는 점이다. 나는 이 만족의 본질에 대해 이야기하는 장을 중심으로 원고를 썼다. 사실 이러한 측면은 대개 최종 예술작품과 노동력, 그리고 기초의 특징이다. 그런 점에서 아마추어 웹툰 작가들의 특별한 노동특성을 조명하는 것은 까다로웠다. 이 단계에서 다소 더 많은 해명이 필요했다고 믿는 것은 뒤늦은 일이다.
 
50분간의 발표 후, 그들은 50분 동안 꽃피는 토론을 계속한다. 무료웹툰 초보작가를 포함한 개인별 참여도를 극대화하고, 웹툰 초보작가로 결정된 서면 콘텐츠를 활성화해 데이터 수도기관에 접수하는 것이 최신 개발이라고 주장할 수 있는가? 그 문제는 내 기억에 남아 있다. 나를 포함한 수사기관들은 이 열풍을 당신네 문화산업의 축적 틀에서 탈바꿈으로 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그것이 2000년대 초반에 90년대 후반에 존재했던 열풍의 변화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나중에 이것을 좀 더 자세히 조사해야 할지도 모른다. 나는 그것이 쉽도록 허용할 것이다. 개인이 간단하게 '솔루션'이라고 부를 수 있는 정밀한 문화 콘텐츠는 정보화폐 조직이 여러 가지로 상품화하기가 훨씬 쉬워지고 있다. 이런 점에서 새로운 열풍을 느낀다.
 
또 문화·창의 분야 전반에 걸쳐 노동계의 우려를 살펴봤다. 앞서 모든 것을 언급하면서 문화예술계 종사자에 대한 실태조사가 필수적이라는 데 절대적으로 공감했다. 미술품 노동은 일반적으로 단편화되기 때문이다. 예술 노동의 불안정성에 대한 논의도 있었다.

 

그래서 해결책은 무엇인가?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도 있었다. 나는 그것이 정말 대답할 수 없는 질문이라고 생각한다. 반드시 단순한 노동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구조적으로만 해결할 수 있는 딜레마다. 그런 점에서 본질적인 수입마저도 한눈에 윤곽이 드러나고 있지만, 그 근본적 돈은 전통예술그룹에 종사하는 사람들만을 위한 해답으로 보이지는 않을 것이다.
 
이런 수준의 토론이 나타났다 사라졌다. 나는 발표자였지만, 나는 내가 그 장소에서 본질적으로 가장 많이 발견했다고 느낀다. 아직 시간이 많이 남았지만, 그 후에 당신의 배려에 대해 이야기 하고 싶다.